▶ 머리말
보건 프로그램은 국가, 지방 정부, 개별 기관이나 단체가 설정한 목적을 달성하는 데 필요한 활동 내용, 자원 관리, 실행, 평가 등에 관한 전반적인 계획이다. 보건 프로그램은 다양한 보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립한 보건 정책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이므로, 개인 또는 집단에 계획적으로 개입하여 참여와 변화를 유도한다.
본 저서의 구성은 총 4부 9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1부에서는 보건 프로그램의 개발에 관한 개념과 이론적 모형들을 제시하여 독자들의 기본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2부에서는 보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부터 개발 및 관리에 관한 원리와 이론적 기틀을 제시하였다. 3부에서는 보건 프로그램을 시행하는 과정과 종료 이후 평가를 어떻게 할지에 관한 원칙과 이론을 포함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4부에서는 보건 프로그램을 실제로 적용한 사례와 구체적 전략을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실용적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하였다. 각 장의 구성은 학습목표, 주요용어, 학습개요를 요약하여 안내하였고, 본문에서는 이론과 실제 연구 및 실무 적용 사례를 병행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또한 본문 다음에는 독자들이 스스로 학습 수준을 측정할 수 있도록 주요사항을 문제로 만들어 제시하였다. 본 교재에서는 특별히 기존 교재들과는 다르게 보건 프로그램의 최근 동향으로, 지역사회 주민 참여와 역량 강화, 건강 정보 이해 능력 향상이라는 2가지 흐름에 대한 설명을 담고 있으며, 보건 프로그램의 적용 과정에서는 정보 통신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가 도입되고 있는데 이를 사례 중심으로 제시하고 있다.
▶ 차례
P A R T 1 보건 프로그램의 이해 6
제1장 보건 프로그램의 개념 … 8
제2장 보건 프로그램 개발 관련 이론 … 32
P A R T 2 보건 프로그램 기획과 실행 82
제3장 보건 프로그램 요구도 조사 … 84
제4장 보건 프로그램 개발 … 112
제5장 보건 프로그램 관리 … 182
P A R T 3 보건 프로그램 평가 214
제6장 보건 프로그램 평가의 개요 … 216
제7장 보건 프로그램 평가의 실제 … 258
P A R T 4 보건 프로그램의 실제 298
제8장 보건 프로그램의 실제 … 300
제9장 보건 프로그램 전략의 실제 … 332
김춘미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