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과임상은 치위생(학)과를 졸업하고 면허를 취득한 치과위생사가 핵심 역량을 아낌없이 발휘하여 능력 있는 치과위생사로서 인정을 받는 현장이다. 이는 시대의 빠른 변화를 유연성 있게 받아들여야 함은 물론이고 항상 업무를 향상시켜 완벽한 역량을 발휘해야 하는 곳이다. 최근 치과위생사의 업무 영역 확장과 더불어 차별화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한 심화교육 과정에서 업무수행능력과 기술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은 임상현장에서 업무와의 연계성을 의미한다. 요즈음 대학 교육 현장도 졸업생을 대상으로 산업체의 만족도 조사를 하고 있으며, 조사 후에는 반드시 피드백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산업체가 원하는 한결같은 답변은 인성과 실무능력이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절실히 요구되는 업무를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임상실무 영역 중 임시치관 제작을 위한 실습서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교재는 제1부에서 임시치관 제작을 위하여 꼭 알아야 할 치아형태별 특징을 이론과 사진으로 수록하였고 제2부에서는 임시치관 제작을 위한 실제 나타날 수 있는 여러 문제점과 주의사항에 대한 세심한 안내와 제작 이전에 치아형태를 그림으로 실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제3부에서는 제작과정을 사진으로 수록하여 임시치관을 제작을 이해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PART I 임시치관 제작을 위한 개요
제1장 영구치(permanent teeth)의 특징
1. 상악 중절치
2. 상악 측절치
3. 하악 중절치
4. 하악 측절치
5. 상악 견치
6. 하악 견치
7. 상악 제1소구치
8. 상악 제2소구치
9. 하악 제1소구치
10. 하악 제2소구치
11. 상악 제1대구치
12. 상악 제2대구치
13. 하악 제1대구치
14. 하악 제2대구치
제2장 치아의 일반적인 형태
1. 치면(Surface of tooth)
2. 치아의 등분
3. 치아의 연(Margin)
4. 우각(Angle)
5. 치관의 발육과 함몰
6. 치아상징
PART II 임시치관 제작을 위한 보철학적 특징
제1장 임시치관(Temporary crown) 제작 개요
1. 임시치관의 정의(Temporary restoration)
2. Provisional Restoration(PR)의 개념
3. 임시치관 제작의 필요성
4. 심미성 확립
5. 임시치관 제작 전 기본 필수 개념
6. Finish line과 변연의 적합
제2장 임시치관 제작
1. 임시치관 제작방법
2. 재료의 취급과 관리
3. 임시치관 제작 시 문제점과 주의사항
PART III 임시치관 제작을 위한 실제
제1장 치아형태 도해
1. 절치
2. 견치
3. 소구치
4. 상악 제1대구치
5. 하악 제1대구치
제2장 임시치관 제작실제
1. 임시치관 제작을 위한 기재 준비
2. 상악좌측 중절치 임시치관 제작
3. 하악우측 제1대구치 임시치관 제작
4. 전치부 가공의치 임시치관 제작
김영선 대구보건대학교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