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TV와 인터넷 등 각종 매체를 통해 성에 대한 정보가 여과 없이 넘쳐나 성정체성에 혼란이 생기고 오히려 성에 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받기 어려운 사회에서 살아가고 있다. 성범죄와 관련된 뉴스를 자주 접하게 되면서 공분을 느끼는 일도 잦
으며 성소수자들의 커밍아웃도 낯설지가 않게 된 것이 오늘날 한국사회의 현실이다. 이와 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성(性)에 대
한 참고서적들은 현실을 반영하고 있지 않았다. 책에서 주로 다루는 성이라는 주제는 주로 성적 주체가 아닌 생물학적, 사회
적 관점에서 논의되어 왔으며 성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지 못하였다.
이 책을 출간하게 된 계기는 성을 바라보는 관점이 변화하고 있는 이 시대에 인간의 기본적인 성적 욕구와 그 기전, 건강한
성 정체성에 관한 정보를 정확하게 제시할 수 있는 입문서가 필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우리 모두는 신체적, 정서적, 사회
적, 영적 및 환경적 요인이 건강한 성생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자세하게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모든 측면에서 이 책은 건강한 성생활에 대한 안내서로 지금까지의 성에 대한 소극적인 접근방식에서 벗어나 성에
대한 본질을 다루면서 인간이 궁극적으로 추구해야 할 건강하고 행복한 성적 관계에 대한 문제점과 그에 대한 해결방식을 제
시한다. 이 책은 인간의 전반적인 건강상태가 건강한 성과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 긍정적이고 삶의 질을 높이는 건강한 성
정체성은 무엇인지에 대한 해답을 제시할 것이다.
-차례-
Chapter01 건강한 성 탐구
Chapter02 여성 생식기의 해부와 생리
Chapter03 남성 생식기의 해부와 생리
Chapter04 성 정체성
Chapter05 아동과 청소년의 성
Chapter06 성인기의 성생활
Chapter07 인간의 성반응
Chapter08 관능과 성행동
Chapter09 이상 성행동
Chapter10 성적인 의사소통
Chapter11 성기능장애, 성 치료 및 성기능 향상
Chapter12 인간의 생식
Chapter13 피임
Chapter14 성병
Chapter15 성폭행
최소영 경상대학교
김미혜 청암대학교
김혜진 경성대학교
박명남 진주보건대학교
이정복 이정복 모유 & 성 클리닉
제남주 창신대학교
지은미 한영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