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11판에서는 SECTION I에서는 가족구성원으로서 발달하는 아동에게 영향을 주는 개략적인 서문을 제공하고 있고,
SECTION II에서는 비판적 간호 사정의 원리를 다루고 있다. SECTION III는 신생아를 강조하여 다루고 있으며, SECTION
IV~VII는 아동의 주요 발달 단계를 설명하였다. SECTION VIII, IX에서는 같은 요구를 가진 만성 건강 문제를 가진 아동,
입원으로 인한 스트레스에 대해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SECTION X~XIV에서는 심각한 건강문제를 가진 아동에 대해서
다루었다. 전체적인 틀은 10판과 유사하게 건강문제에 초점을 둔 Evidence Based Practice를 적용하는 데 도움이 되게
구성하였다.
차례
SECTION I 아동, 가족, 간호사
CHAPTER 1 아동간호의 전망
CHAPTER 2 사회·문화·종교와 가족이 아동의 건강증진에 미치는 영향
CHAPTER 3 아동과 가족의 건강증진에 미치는 유전적 영향
SECTION II 아동과 가족의 사정
CHAPTER 4 의사소통, 신체 사정과 발달 사정
CHAPTER 5 아동 통증사정과 관리
CHAPTER 6 감염관리
SECTION III 신생아의 가족중심 간호
CHAPTER 7 신생아와 가족의 건강증진
CHAPTER 8 신생아의 건강문제
CHAPTER 9 고위험 신생아와 가족
SECTION IV 영아의 가족중심 간호
CHAPTER 10 영아와 가족의 건강증진
CHAPTER 11 영아의 건강문제
SECTION V 유아와 학령전기 아동의 가족중심 간호
CHAPTER 12 유아와 가족의 건강증진
CHAPTER 13 학령전기 아동과 가족의 건강증진
CHAPTER 14 초기 아동기의 건강문제
SECTION VI 학령기 아동의 가족중심 간호
CHAPTER 15 학령기 아동과 가족의 건강증진
CHAPTER 16 학령기 아동의 건강문제
SECTION VII 청소년의 가족중심 간호
CHAPTER 17 청소년과 가족의 건강증진
CHAPTER 18 청소년의 건강 문제
김 효 신
용인송담대학교 간호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