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시대에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이 화두가 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변화에 보건 의료계에서도 보건의료 데이터 분석을 통해 의료정책변화, 헬스케어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보건의료 분야에서도 의료기관 데이터를 활용한 전문가적 임상판단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근거기반 실무중심 간호가 화두가 되고 있다. 이에 한국간호교육평가원에서 제시한 간호사의 학습성과기반 연구역량 강화와 보건의료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역량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책을 집필한 주요 목적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는 간호통계학은 통계학의 한 부류로서 간호 분야의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를 정리, 요약, 그리고 분석하는 학문이다. 간호통계학은 학부, 석사, 그리고 박사과정에서 필수적으로 교육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간호관련 기초 통계학 교과서의 부재로 인하여 보건통계학이나 통계학 등의 교과서를 활용하여 교육되어 오고 있다. 통계학의 기본은 어느 통계학 교과서나 거의 유사하겠지만, 간호 분야와 간호연구의 특성을 고려한 간호통계학 교과서는 간호학생과 간호연구자를 위해 매우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둘째는 간호통계학 교과서를 구상하면서 기존 통계학 교과서들의 이론 중심적 틀을 벗어나, 간호 관련 예를 통해 간호연구 통계 분석에 대한 이해도를 올리고, 간호학부 학생들이 통계학을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는 본 교재에서는 통계적인 지식이 그다지 깊지 않은 간호학부 기초과정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기본적인 통계 지식을 함양하기 위하여 이해하기 쉽고 기본적인 내용을 다루었다. 우리 저자에게는 이 책자가 간호학을 전공하는 많은 간호학부 학생들에게 통계 지식을 이해시키기 위한 우리의 노력의 끝이 아니라 출발을 알리는 시발점으로서 이 책자를 지속적으로 수정, 보완할 예정이며, 또한 간호학부 고급과정 및 석사, 박사 등의 간호 연구 분야에서 통계적인 지식을 활용할 심화과정 통계학 교과서는 추후 출간할 예정이다.
따라서 본 책자는 간호학부 기초과정 학생들을 대상으로 간호 분야의 기초적인 통계 지식을 쉽게 이해시키고, 통계 분석 능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기술했다.
본 교재의 구성은 1부, 2부, 3부로 되어 있다. 1부는 기초 통계 개요를 소개하는 부분으로서 간호와 통계를 소개한 다음 통계의 기본 개념과 자료의 수집과 관리 방법론을 기술했다. 2부에서는 기술통계와 추론 통계 및 확률분포를 기술했다. 3부에서는 SPSS를 이용한 통계 실습을 기술하였다. 기본적인 SPSS 사용법, 교차분석, t 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 비모수통계를 SPSS 프로그램 실습을 통하여 이론적인 통계 내용을 이해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이 책을 디자인할 수 있고 책자 작업에 많은 도움을 주고 발간에 필요한 내용 및 관련 자료를 아낌없이 제공해준 수문사 출판사의 편집팀에 감사를 드린다. 그리고 어려운 여건 하에서도 책자의 출판을 허락해준 수문사의 박세원 대표님 이하 관계자 여러분들께도 진심으로 감사를 드린다.
2020년 2월
저자 일동
| 차례
01 간호와 통계
02 통계의 기본 개념
03 자료의 수집과 정리
04 기술통계
05 확률분포
06 추론통계
07 SPSS의 사용법
08 교차분석
09 t 분석
10 분산분석
11 상관분석
12 회귀분석
13 비모수통계
송상근 대동대학교 간호학부
남문희 대동대학교 간호학부
남효연 부산가톨릭대학교 간호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