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교재는 지역사회간호학 I과 지역사회간호학 II로 나누어 간호학 학부과정에 필수적인 내용을 한국보건의료인 국가시험원에서 제시한 지역사회간호학 국가고시 교과목에 요구되는 대분류 및 영역을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특히 제6판에서는 감염병 관리, 영유아 건강검진, 치매예방 관리사업 등 지역사회 보건의료에서 최근 많이 이슈화되는 변화를 충실히 반영하고자 노력하였다. 또한 기존 내용에서도 새롭게 추가된 통계자료나 개정된 법률 및 시행령 등을 최대한 업데이트 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
지역사회간호학 I은 지역사회간호학의 근간을 이루는 개론적 영역으로, 제1장에서는 지역사회간호 개론, 제2장에서는 지역사회간호 행정 관련 내용을 수록하여 보건의료체계 전반적인 내용을 서술하였다. 제3장과 4장에서는 지역사회간호학의 기본적인 방법과 전략으로서 지역사회간호사가 직무 활동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지역사회 간호과정과 가족간호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제5장에서는 지역사회간호 중재에 적용될 건강증진과 보건교육에 대한 방법론적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지역사회간호학 II는 제6장에서 지역사회 인구집단을 관리하는 데 요구되는 역학과 질병관리를 기술하고 있으며, 제7장에서는 인구집단과 지역사회기반 모자보건사업을, 제8장은 지역사회기반 노인보건과 가정건강관리를 설명하고 있다. 제9장에서는 현재 진행 중인 국가 주요지역보건의료사업을 위주로 소개하고 있으며, 제10장은 학교보건, 제11장은 직업건강간호, 그리고 제12장에서는 환경과 재난 관리 등 다양한 지역사회기반 전반에 대한 이해와 활동 현황 그리고 실무 적용 등을 포함하고 있다.
본 교재의 집필위원들은 시대적, 정책적으로 시시각각 변화하는 보건의료 환경과 기본적인 이해가 필요한 개념과 방법 등 이론부터 실무까지 다양한 내용을 담아내고자 최선을 다하였으나 여전히 미흡한 부분이 있다. 이런 부분들에 대한 독자들의 지적을 겸허히 수용하면서 더욱 좋은 교재를 만들어나가는 자양분으로 삼고자 한다.
l 차례
제1장 지역사회간호 개론
제2장 지역사회 간호행정
제3장 지역사회간호과정
제4장 가족간호
제5장 건강증진과 보건교육
소애영 강릉원주대학교 교수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