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

저자이윤미 외

  • 발행일2019-09-02
  • ISBN978-89-304-4841-3(93510)
  • 정가43,000
  • 페이지수812
  • 사이즈국배판

도서 소개

 

 

간호학생들에게 가장 어려운 간호학 과목이 무엇인지 물어보면 약리학은 항상 상위 목록에 있다. 약리학 공부는 간호학생들에게 자연과학과 응용과학에 관한 넓고 다양한 지식을 요구한다. 약물작용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부학, 생리학, 화학, 병리학, 나아가 심리학, 사회학 등의 사회과학에 관한 지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약리학을 적절하게 적용하지 못하면 환자에게 즉각적이고 직접적으로 해를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약리학과 간호학을 통합한 간호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약리학 교재를 만드는 것이 쉬운 일은 아니다. 임상실무에서 수많은 약물들이 특정 질환의 치료를 위해 처방되고 있으나, 아직도 많은 약리학 교과서들은 약리학과 병태생리학 사이의 복잡한 상호관계를 다루지 못하고 있다. 간호학생들이 약물을 관련 질환이나 상태와 분리하여 별개로 배운다면 치료적 목표와 환자 안녕을 약물치료와 연결하는 데 어려움을 느끼게 된다.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은 약리학을 다른 학문 분야와 적절하게 결합하여 설명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한 기조 아래, 다양한 질환에 대한 병태생리학적 접근 및 간호과정에서 약리학의 중요성을 밝히고, 명확한 지식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전인적인 환자 돌봄에 초점을 두어, 질병을 치료하고 예방하는 데 있어 약물치료의 이점과 한계를 명확하게 설명하였다. 약리학을 공부하는 것이 비록 쉽지는 않겠지만, 분명 흥미진진한 학습의 여정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
『간호사를 위한 약리학』은 신체구조와 질병에 따라 총 9부 49장으로 나누어져 있다. 1장에서 10장까지는 약리학 총론을 다루며, 11장부터 49장까지는 각 신체기관별 질환 치료를 위한 해부학적 신체 구조·질병 개요·약물, 특수질환에서의 약물투여에 따른 간호과정을 설명하였다.
이 책은 Michael Adams, Norman Holland, Carol Urban 저 『Pharmacology for Nurses: A Pathophysiologic Approach』(5판)를 원저자의 의도에 맞게 번역되도록 역자들이 최선을 다해 노력한 것이다. 번역 과정에서 의학용어는 『지제근 의학용어사전』(2판)을 참고하여 구용어와 신용어를 고루 사용하였다. 간호진단명은 NANDA가 공인한 『간호진단(Nursing Diagnoses) 2018~2020』에 있는 용어를 참고하였다.

 

| 차례

제1부 약리학의 주요 개념
제1장 약리학의 개요
제2장 약물 규제와 승인
제3장 약동학
제4장 약력학

제2부 약리학 및 간호사-환자관계
제5장 약리학의 간호과정
제6장 투약오류와 위험 감소
제7장 연령별 약물치료
제8장 약물 반응의 개인적 차이
제9장 약리학에서 보완대체요법의 역할
제10장 비상사태 대비와 중독

제3부 신경계
제11장 콜린성 약물
제12장 아드레날린성 약물
제13장 불안과 불면 치료제
제14장 항경련제
제15장 기분장애 치료제
제16장 정신병 치료제
제17장 통증조절제
제18장 국소 및 전신마취제
제19장 신경계의 퇴행성 질환 치료제
제20장 신경근 장애 치료제
제21장 약물남용

제4부 심혈관계와 요로계
제22장 지질장애 치료제
제23장 이뇨제 및 신부전 치료제
제24장 수분 균형, 전해질, 산-염기 장애 치료제
제25장 고혈압 치료제
제26장 심부전 치료제
제27장 협심증과 심근경색 치료제
제28장 쇼크 치료제
제29장 부정맥 치료제
제30장 혈액응고 질환 치료제
제31장 조혈장애 치료제

제5부 면역계
제32장 염증과 발열 치료제
제33장 면역조절제
제34장 세균 감염 치료제
제35장 진균·원충·기생충감염 치료제
제36장 바이러스 감염 치료제
제37장 신생물 치료제
 
제6부 호흡기계
제38장 알레르기비염과 감기 치료제
제39장 천식과 호흡기계 질환 치료제
 
제7부 위장계
제40장 소화성 궤양 치료제
제41장 장장애와 기타 위장관 질환 치료제
제42장 영양장애 치료제

제8부 내분비계
제43장 뇌하수체, 갑상선 및 부신 질환 치료제
제44장 당뇨병 치료제
제45장 여성 생식기계 질환 치료제
제46장 남성 생식기계 질환 치료제
 
제9부 골격계, 피부계, 눈과 귀
제47장 뼈 및 관절 질환 치료제
제48장 피부 질환 치료제
제49장 눈과 귀 치료제
 
 
 

 

저자 소개

이윤미 인제대학교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