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의 다양화와 첨단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해 중환자 간호의 중요성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습니다. 중환자 간호의 영역 또한 확장되어 인공호흡기, 지속적 신대체요법과 같은 고도의 전문성과 기술을 요하는 중재들이 중환자실이 아닌 일반병실에서도 시행되는 것을 자주 보게 됩니다. 한편으로는 이처럼 복잡해지고 다양해지는 치료와 중재들의 과학적 근거를 찾아 제시하는 근거중심 가이드라인과 프로토콜이 끊임없이 생성되고 또 갱신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중환자실 간호사뿐만 아니라 일반 간호사 그리고 중환자 간호를 처음 접하는 간호학생들이 입문서로 참고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습니다.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근거기반 중환자 간호, 환자안전, 가족간호, 법적·윤리적 쟁점은 물론 중환자의 영양과 통증관리, 감염관리, 인공호흡기 치료 등과 같은 중환자간호의 기반이 되는 내용을 수록하였습니다. 또한 순환기계, 호흡기계, 신경계 중환자간호의 기초적이고 팔수적인 내용을 충실하고 다루고 있습니다.
각 장마다 기본적인 내용과 함께 국내·외의 대표적인 근거기반 가이드라인과 프로토콜을 제시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최신 관련 문헌들의 근거들과 부합되는 핵심사항들을 간략하게 포함하였습니다. 따라서 임상현장에서 실무를 제공할 때 이 책을 신속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간호학생들은 처음 접하는 중환자간호의 이론과 실습의 교재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차례
PART 01. 중환자간호의 기초
CHAPTER 01 근거기반실무와 중환자간호
CHAPTER 02 환자안전
CHAPTER 03 건강한 간호업무환경
CHAPTER 04 다학제 팀 중환자간호
CHAPTER 05 사전의료의향결정
CHAPTER 06 생의 말기간호
PART 02. 중환자간호실무
CHAPTER 07 영양관리
CHAPTER 08 통증관리
CHAPTER 09 피부 및 상처관리
CHAPTER 10 혈역학 감시
PART 03. 심혈관계 중환자간호
CHAPTER 15 심혈관계 사정
CHAPTER 16 관상동맥 질환
CHAPTER 17 심부전
CHAPTER 18 쇼크환자 관리
PART 03. 심혈관계 중환자간호
CHAPTER 15 심혈관계 사정
CHAPTER 16 관상동맥 질환
CHAPTER 17 심부전
CHAPTER 18 쇼크환자 관리
CHAPTER 19 부정맥
PART 04. 호흡기계 중환자간호
CHAPTER 20 호흡기계 사정
CHAPTER 21 급성호흡곤란증후군
CHAPTER 22 만성폐쇄성폐질환
CHAPTER 23 폐렴
CHAPTER 24 폐색전증
PART 05. 신경계 중환자간호
CHAPTER 25 신경계 사정
CHAPTER 26 허혈성 뇌졸중
CHAPTER 27 출혈성 뇌졸중
CHAPTER 28 중추신경계 감염
CHAPTER 29 뇌종양
CHAPTER 30 뇌전증(간질)
김금순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