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도의 경제성장, 과학기술과 첨단 의료기술의 발달은 오늘날 인간의 수명을 현저히 증가시키는 데 기여하였지만, 이로 인한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가 새로운 건강문제로 대두하고 있습니다.
다행히도 만성질환의 대부분은 생활습관이나 생활양식에 의해 예방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적으로 건강에 이로운 정책을 입안하고 환경을 조성해야 하며, 개인적으로는 보건교육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고, 올바른 방향으로 생활습관이나 생활양식을 실천해야 합니다.
우리나라는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을 제정해서 건강에 관한 바른 지식을 보급하고 스스로 건강생활을 실천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고 있으며, 개인 또는 집단의 특성, 건강상태, 건강 의식 수준 등에 따라 적절한 보건교육이 시행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0년 국가공인자격증인 보건교육사 자격시험이 최초로 실시된 이래, 이를 통해 자격을 갖춘 보건교육사를 양성되어 국민들에게 좀 더 내실 있는 보건교육을 실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에 본 저자들은 보건교육학을 공부하는 학부, 석·박사 과정 학생은 물론 개인, 가족, 학교, 의료기관, 산업장, 지역사회 등 다양한 보건현장에서 근무하는 의료인과 보건교육사들이 보건교육을 수행하는 데 좀 더 실제적인 교육을 받고 질적으로 우수한 보건교육을 실시하는 데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고자 본 저서를 발행하게 되었습니다.
이 책은 총 7장으로 1장은 건강과 건강증진, 2장 보건교육의 개념과 이론, 3장 보육교육 계획, 4장 보건교육방법, 5장 보건교육매체, 6장 보건교육 실시, 7장 보건교육평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차례
1장 건강과 건강증진
2장 보건교육의 개념과 이론
3장 보육교육계획
4장 보건교육방법
5장 보건교육매체
6장 보건교육 실시
7장 보건교육평가
강영미 대동대학교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