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환자 중심의 의료 커뮤니케이션

저자박용익

  • 발행일2014-03-15
  • ISBN978-89-304-3244-3(93510)
  • 정가25,000
  • 페이지수364
  • 사이즈4*6배판

도서 소개

 

 

■ 한국 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중요한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문제 중의 하나가 바로 ‘소통’이다. 이러한 사회적 흐름 속에서 의료 분야에서도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부각되었고, 이에 따라 의료인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 또한 늘어나고 있다. 이 같은 추세에 맞추어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에 관한 문헌들도 많이 출판되고 있다.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에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제안들을 내놓는다는 점에서 이들 문헌의 출판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그러나 대부분 외국의 문헌들을 번역한 것이거나 필자들의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저술된 것이어서, 한국의 의료 현실을 심층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한계를 지닌 것도 사실이다. 이 책은 기존 연구서들이 가진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대화분석을 기반으로 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쓰인 것이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 방법론이 대화분석 연구의 특성을 갖는 이유는 두 가지이다. 첫 번째 이유는 대화분석 연구가 대화의 현상이 어떤지, 그리고 그러한 대화의 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기저의 규칙 체계가 무엇인지를 재구성해내는 발견의 학문이라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두 번째 이유는 대화분석 연구가 언제나 실제로 수행된 대화를 연구의 대상으로 하는 실증적 연구라는 사실과 관련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대화분석적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 방법론의 특징은 실제 의료 대화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해서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현황과 문제점을 발견하고, 이를 토대로 의료인들의 의사소통을 개선하고자 하는 실증성에 있다.
실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그 문제가 정확하게 무엇인지를 진단하는 것이다. 이는 마치 의사가 환자를 치료하기 전에 먼저 그 환자의 질병을 정확하게 진단해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의료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계발하고자 한다면 먼저 실제 의료 현장에서 수행되는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 그러고 난 후에야 비로소 그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다 나은 의사소통을 할 수 있게 하는 구체적 방법과 대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원래 대화분석은 대화의 구조와 규칙체계의 발견을 주목적으로 하는 기술적(descriptive)특성을 지닌 언어학의 한 분야이다. 그러나 그러한 전통적인 대화분석의 목적을 고수해서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능력 계발이라는 이 연구의 목적을 온전히 실현하기 힘들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의료 커뮤니케이션 현장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제대로 포착하기 위해 기존 대화분석 연구의 대상을 넘어서서 의사소통의 규범까지 다루었다. 이는 이곳에서 적용된 대화분석 연구가 종래의 기술적 연구의 특성을 넘어서서 규범적(normative) 특성까지 연구의 외연을 확장한 것임을 의미한다.
의료인들의 의사소통 능력 계발을 위한 대화분석적 프로그램을 제시하기 위해서 필자는 먼저 의료계에서 제시된 다양한 의료 커뮤니케이션 관련 연구 성과를 검토하였고,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에 관심이 있는 많은 의학자들과 교류를 통해서 현장의 문제가 무엇인지 파악하고자 노력하였다. 여기에서 나온 연구 결과는 의과대학에서의 강의와 의학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워크숍 등을 통해서 여러 차례 검증하였다.
이 책의 연구 결과는 그간 의료계의 연구 성과와 의학자들과의 교류를 통해 얻은 실제적 경험 그리고 대화분석의 전통적인 방법론과 이 책에서 확장된 연구 방법론이 융합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본래 의료 커뮤니케이션은 매우 다양한 의사와 환자의 대화 유형을 포괄하는 집합적 개념이지만, 이 책에서는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가장 기본이 되는 병력대화와 병명 통보대화에 국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나머지 다양한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유형들은 향후 과제로 남긴다.

현시대는 인문학도 그 연구의 결과가 학제적이고 대중적인 쓰임새와 상호소통의 가능성이 있을 때야 비로소 연구의 가치를 인정하고, 보다 완성된 수준에 다다른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 책에서 제시된 연구 결과가 새로운 인문학에 대한 저간의 기대를 온전하게 충족하였다고는 할 수 없다. 하지만 이 책의 연구 결과가 적어도 그러한 목적에 이르는 하나의 관점 정도는 제시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이런 연구 성과는 대화분석 연구를 시작한 이래 오랜 고뇌 끝에 얻은 결과라서 비록소박하지만 기쁘고 감사하다.
필자는 이 책이 기존의 의료인뿐만 아니라 미래 의료인들의 의사소통 교육에 활용되기를 진심으로 소망한다. 또한 대화분석 연구자들에게는 그동안 축적해온 소중한 연구가 학제적이고 대중적인 쓰임새를 만들어낼 수 있는 하나의 모델로서 자리매김이 되기를 희망한다.
이 책을 쓰게 된 동기를 제공해 준 것은 무엇보다도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에서 진행되었던 ‘의료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대화분석적 연구’ 프로젝트였다. 필자는 이 연구팀에서 전임 연구원으로 활동하면서 이 책에서 제시한 연구의 기틀을 만들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이를 확장하고 심화시킬 수 있는 가능성까지 바라보게 되었다. 이 연구팀은 필자에게 단순히 동기만 부여한 것이 아니라 연구를 가능하게 한 동력을 제공하기도 하였다. 그 이유는 연구자 개인으로는 접근하기 힘든 실제 의료 대화의 자료를 연구팀에서 제공받아 이 책의 저술에 활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연구팀의 책임 교수였던 강창우 선생님과 의료 대화 연구 분과의 박일환 선생님,서민순 선생님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또한 연구 자료 구축에 기여하였던 선생님들과 석·박사 과정의 연구 보조원들, 그리고 연구팀에 참여하였던 모든 선생님들께도 고마운 마음을 전해드리고 싶다.
이 책의 거친 원고를 읽고 개선을 위한 소중한 충고와 조언을 아끼지 않으신 박일환선생님과 진정근 선생님, 그리고 백승주 선생님과 아내 정연옥에게도 감사의 마음을 전해드린다.

이 책은 한국연구재단, 인문저술 지원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저술되었다. 이 연구를 가능하게 한 한국연구재단과 연구 제안서의 가치와 가능성을 발견하고 지원 결정을 내려주신 심사자 여러분들께도 깊은 감사의 말씀을 올린다.
또한 이 책의 출판을 허락해주시고 원고를 고치고 다듬어 보기 좋은 책으로 만들어주신 수문사의 박철용 회장님을 비롯한 임직원 여러분에게 감사드린다.
이 연구를 시작하기 얼마 전에 필자는 비교적 위중한 질병을 진단받고 장시간에 걸친 수술을 받아야 했다. 그 후 필자는 수개월 동안 두 발로 서고 걷지를 못하는 힘든 시간을 가졌다. 다시 두 발을 딛고 걸을 수 있도록 도와주신 장태안 선생님과 의료진, 재활치료를 정성껏 해주신 문성필 선생님, 간병의 수고로움을 아끼지 않으신 정미순 선생님께 감사드린다. 또한 길고 지루할 수도 있는 재활의 시간을 마치평범한 일상인 듯 보낼 수 있도록 위로와 격려를 아끼지 않으신 모든 분들께 감사한 마음이다. 특히 위태로웠던 삶의 한 단계에서 용기를 잃지 않도록 굳건한 지지와 사랑을 보내준 아내 정연옥과 두 아들 도원, 인원에게 감사와 사랑의 인사를 전한다.

2014년 2월


ㅣ 차 례 ㅣ

제 1장 들어가는 말
1.1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위한 대화분석 연구의 필요성15
1.2 연구의 목적20

제 2장 인간 커뮤니케이션
2.1 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이해 5
2.2. 의사소통 능력의 이해6

제 3장 의료 커뮤니케이션
3.1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이해45
3.1.1.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정의45
3.1.2.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제도적 조건과 특징 48
3.1.3. 의사-환자 대화의 유형50
3.1.4. 의사-환자 관계의 유형56
3.2. 환자 중심적 의료 커뮤니케이션의 핵심 요소2
3.2.1. 관계 형성62
3.2.2. 공감(Empathy)72
3.2.3. 이야기(내러티브, narrative)78

제 4장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위한 대화분석 방법론
4.1. 기존의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 방법론1
4.1.1. 외국의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91
4.1.2. 한국의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94
4.2. 대화분석적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 방법론의 특성04
4.2.1. 대화분석이란104
4.2.2. 대화분석적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특징과 장점105
4.2.3. 대화분석적 의료 커뮤니케이션 교육의 방법과 절차112

제 5장 의료 대화의 원형과 규범 그리고 평가 기준
5.1. 의료 대화의 보편적 진행 과정20
5.2. 병력 대화125
5.2.1 환자 중심적 병력 대화의 전개 과정: 기능 단계의 원형127
5.2.2. 병력 대화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규범167
5.2.3 병력 대화의 평가를 위한 기준과 방법169
5.3. 병명통보 대화16
5.3.1. 병명통보 대화의 구성 요소와 진행 과정: 기능 단계의 원형219
5.3.2. 병명통보 대화의 효과적인 수행을 위한 규범233
5.3.3. 병명통보 대화의 평가를 위한 기준과 방법237
 

저자 소개

박 용 익(dialog62@gmail.com)

독일 뮌스터 대학교 언어학 박사
연세대학교에서 학술연구교수, 서울대학교 선임연구원, 가톨릭대학교 초빙교수 역임
대한 의료커뮤니케이션 학회 학술이사 및 기획이사 역임, 현 교육이사
현, 고려대학교 독일어권 문화연구소 연구원

< 저역서 >
대화분석론, 수업대화의 분석과 말하기 교육, 이야기 분석, 회화 분석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