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암환자수는 급속히 늘어나 어느새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2011년 중앙 암등록 본부의 통계 자료에 의하면 암환자수는 1,097,253명으로 인구수 1052만명 대비 10%의 국민이 암에 걸려있으며, 암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겪게 되는 질환으로 대두되었다. 따라서 암환자 정보의 효율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암등록은 의무기록사의 주요 업무로 자리 잡고 있다. 암등록이란 특정한 인구집단에서 발생하는 모든 암환자를 다양한 자료원을 통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으로 등록하여 암환자의 특성, 임상적 및 병리학적 소견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암의 발생률, 지역적 특성, 시간에 따른 변화 등을 알아내어 암관련 보건정책수립에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책은 암등록을 수업함에 있어 이론과 실무를 겸비하여 효과적인 학습을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특히 학생들은 암등록을 실습할 때 환자의 비밀 보장을 원칙으로 하는 법적 규제 및 의무기록 정보보호 측면에서 학교수업은 실제 차트를 가지고 실습하기가 불가능하며 병원 실습이나 졸업하여 현장에 취업했을 때 관련 업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 발생률이 높은 10대 암을 조사하여 대학병원급에서 사용하는 실제 차트를 중심으로 모의챠트를 구성하였으며 각 챠트마다 암등록을 실습할 수 있도록 암등록지를 삽입하였다.
이 책의 구성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파트 1은 암의 이론적 내용으로 종양의 병리와 진단 방법 및 치료방법, 암의 병기 그리고 암등록 지침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파트 2는 암등록 실습 내용으로 단문의 예제를 수록하였으며, 우리나라에서 발생률이 높은 10대 암을 대상으로 일반적 암의 이해와 실제 차트에서 발췌한 모의 차트를 수록하여 암등록 실습을 통해 학습능력과 실무능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암의 범위와 의무기록의 광범위한 내용을 다 포함시킬 수는 없지만 최대한 임상현장에서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아직 미흡하고 부족한 부분이 많으리라 생각되며, 독자분들의 많은 의견과 충고 부탁드리며 계속해서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수정, 보완하도록 노력해 나가겠다.
의무기록사를 지망하는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주춧돌이 되기를 바라며, 끝으로 이 책이 출판될 수 있도록 도와주신 수문사 박철용 회장님 이하 임직원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4년 3월 저자 일동
ㅣ 차 례 ㅣ
Ⅰ 암등록 이론
1장 종양의 병리 9
1절 종양의 정의 9 / 2절 종양의 분류 10 / 3절 세포의 손상과 적응 14 / 4절 종양의 전이 16 / 5절 종양의 유발요인 17 / 6절 우리나라의 암 발생 19
2장 암등록의 의의 29
1절 암등록의 목적 29 / 2절 암등록사업의 역사 30 / 3절 암등록의 종류 32 / 4절 우리나라의 암등록사업 33 / 5절 암등록 전문기관 35
3장 암의 진단과 치료 39: 1절 암의 진단 방법 39 / 2절 암의 치료방법 44
4장 암의 병기 61
1절 병기의 정의 61 / 2절 병기의 사용 목적 61 / 3절 분화도(Differentiation)와 등급(Grade) 62 / 4절 병기의 종류 64
5장 암등록 자료의 질 관리와 통계자료 79
1절 비교성(COMPARABILITY) 79 / 2절 완벽성(COMPLETENESS) 80 / 3절 타당성(VALIDITY) 84 / 4절 암등록 통계 94 / 5절 암등록 자료의 보안 96
6장 암등록 일반적 지침 101
1절 암환자 색출을 위한 자료원(Case finding) 101 / 2절 ICD-l0과 ICD-O의 비교 114 / 3절 암등록 항목별 지침 117 / 4절 다중원발암 규칙 151 / 5절 뇌종양 등록 156
Ⅱ 암등록 실습
1장 암등록 실습(Chart 요약) 165
2장 암등록 차트 172
1절 위암(Stomach Cancer) 174 / 2절 폐암(Lung Cancer) 204 / 3절 결장직장암(Colorectal Cancer) 240 / 4절 간암(Liver Cancer) 272 / 5절 췌장암(Pancreatic Cancer) 293 / 6절 자궁경부암(Uterus Cervix Cancer) 312 / 7절 유방암(Breast Cancer) 338 / 8절 방광암(Bladder Cancer) 361 / 9절 갑상선암(Thyroid Cancer) 389 / 10절 백혈병(Leukemia) 406
Ⅲ 부 록: 암등록 실습-Chat 요약 정답
김 원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
고신대학교 의학과 의학 박사
일신기독병원 의무기록실 근무
경남정보대학교 의무행정과 교수
신 문 주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학 석사
진주보건대학 외래교수
동의대학교 외래교수
영산대학교 외래교수
경남정보대학교 의무행정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