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간호 핵심술기 >>를 출간하며
최근 간호계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았습니다. 의료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아동간호사의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그들이 실무에서 담당해야 할 영역이 커지면서 다양한 간호상황에 대처할수 있는 능력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환자권리에 기반한 의료기관의 정책은 학습자들에게 매우 불리하게 바뀌고 있어, 교육중심의 대학병원에서조차도 학습자에게 실습기회가 원활하게 주어지지 못합니다. 따라서 각 교육기관들은 실습의 효율성을 위해 시뮬레이션으로 실습을 대체하고 있지만 모든 상황을 다 연할 수 없는 한계가 있습니다.
간호학은 응용학문으로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해야 하며, 이론에 근거한 실기를 적용해야 합니다. 대상자가 인간이기 때문에 조그마한 실수도 용납되지 않으며 이론으로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반복적이고 꾸준한 실습을 통하여 기술을 숙련시켜야 합니다.
이 책은 Vicky R. Bowden과 Cindy Smith Greeberg의
이 책의 장점은 각 단계별로 필요한 절차들을 매우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어 내용을 잘 모르는 학습자라도 단계별로 따라가다 보면 저절로 학습이 된다는 것입니다. 또, 각 단계마다 이론적 근거가 제시되어 있어 ‘왜 그렇게 해야 하는가?’에서 대한 의문을 해결할 수 있는 것도 큰 장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동간호용 실기교재가 필요한 시점에 이 책을 출간하게 된 것을 매우 시의적절하며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독자들의 많은 관심과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끝으로 이 책이 출판되기까지 수고를 아끼지 않으신 수문사 임직원들께 감사드립니다.
2013년 12월 편역자 일동
l 차 례 l
Chapter 1 간헐적 자가도뇨
Chapter 2 감염예방
Chapter 3 견인간호
Chapter 4 경피산소 측정
Chapter 5 골수천자
Chapter 6 관장
Chapter 7 광선요법
Chapter 8 기계적 환기
Chapter 9 기관흡입
Chapter 10 낙상 예방
Chapter 11 냉요법
Chapter 12 대변수집과 검사
Chapter 13 마취 후 간호
Chapter 14 말초채혈
Chapter 15 모유관리
Chapter 16 목욕
Chapter 17 무호흡 모니터링
Chapter 18 발작간호
Chapter 19 보온
Chapter 20 분무요법
Chapter 21 비경구영양
Chapter 22 산소요법
Chapter 23 석고붕대 간호
Chapter 24 소변수집 : 24시간
Chapter 25 소변수집 : 단순도뇨
Chapter 26 소변수집 : 유치도뇨 소변
Chapter 27 소변수집 : 일반 소변
Chapter 28 소변수집 : 중간 소변
Chapter 29 수술 전 간호
Chapter 30 시각 선별검사
Chapter 31 심폐소생술
Chapter 32 안전 관리
Chapter 33 억제와 격리
Chapter 34 요추천자
Chapter 35 위장관루 관리
Chapter 36 위장관 튜브 관리
Chapter 37 유치도뇨관 관리
Chapter 38 유치도뇨관의 삽입과 제거
Chapter 39 입원간호
Chapter 40 장난감 관리
Chapter 41 주사: 뼝
Chapter 42 주사: 근육
Chapter 43 주사: 정맥
Chapter 44 주사: 피하
Chapter 45 진정시키기
Chapter 46 청각 선별검사
Chapter 47 통증관리
Chapter 48 투약: 경구
Chapter 49 투약: 경장
Chapter 50 투약: 귀
Chapter 51 투약: 기관
Chapter 52 투약: 눈
Chapter 53 투약: 설하 및 구강점막
Chapter 54 투약: 심혈관계 약물
Chapter 55 투약: 직강
Chapter 56 투약: 코
Chapter 57 투약: 피부
Chapter 58 화학요법: 투약과 안전 처치
Chapter 59 화학요법: 혈관외 누출 관리
Chapter 60 활력징후: 심장 박동
Chapter 61 활력징후 측정: 체온
Chapter 62 활력징후 측정: 통증
Chapter 63 활력증후 측정: 혈압
Chapter 64 활력증후 측정: 호흡
Chapter 65 흉부물리요법
권인수 경상대학교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