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에서 뇌졸중 전문가 과정을 준비하면서 뇌졸중에 대한 신경학적 지식과 작업치료적 접근을 잘 정리해놓은 책을 찾다가 Occupational Therapy and Stroke를 번역하게 되었다.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국내에서도 뇌졸중을 가진 대상자들을 치료하는 데 많은 작업치료사들이 힘쓰고 있다. 중추신경계 질환인 뇌졸중은 여러 가지 중추신경계의 장애를 야기하고 이로 인하여 작업수행과 참여에 제약을 가지고 오기 때문에 뇌졸중에 대한 신경학적 지식과 작업치료적 평가와 접근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작업치료와 뇌졸중>은 이러한 내용을 잘 담고 있는 책 중 하나이다.
<작업치료와 뇌졸중 II> (Occupational Therapy and Stroke)은 2001년 초판이 발행되었고 2010년 2판이 출판되었다. 저자 Judi Edmans는 1976년 작업치료 학교를 졸업하였고, 2010년에 노팅업대학교에서 뇌졸중 의학 분야의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그녀는 영국작업치료학회의 신경계작업치료연구회(College of Occupational Therapists Specialist Section Neurological Practice)에서 활발히 활동하고 있으며, 영국의 왕립의학회(Royal college of Physicians)의 뇌졸중 임상 가이드라인(National Clinical Guidelines for Stroke)을 출판하는 데 작업치료학회 대표로 참여하였다.
<작업치료와 뇌졸중>은 작업치료사가 집필한 책으로 거의 유일하게 뇌졸중작업치료를 집중적으로 다룬 책이다. 근거 기반 작업치료적 접근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신경학적 지식들을 정리해놓았다. 미시적인 신경학적 근거들을 제시하면서도 ICF 모델과 같은 거시적 개념들도 빠뜨리지 않고 잘 설명해주고 있다. 작업치료의 최종 목적인 작업 참여에 대한 부분도 모두 포함하고 있다. 이런 모든 것을 다 포함하면서도 매우 간결하게 잘 정리해놓았다는 것이 <작업치료와 뇌졸중>의 큰 특징 중 하나이다.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에 첫 번역서로<작업치료와 뇌졸중>을 선택한 이유는 작업치료사들이 알아야 하는 미시적 신경학적 지식과 작업 참여라는 거시적 실천 모두 잘 담고 있기 때문이다. 여러 가지 살을 붙여야 할 부분들이 많은 것은 사실이지만 그 뼈대가 잘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첫 번역서로 선정하여 출판하게 되었다. 본 번역서가 국내에 있는 많은 작업치료사들에게 뇌졸중을 치료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길 바란다.
마지막으로, 편집위원으로 활동해주신 김선희, 남경완, 심선화, 이현영 선생님, 그리고 출판하기까지 고생하시고 응원해주신 수문사 박철용 회장님과 편집부임직원 여러분에게 감사를 표한다.
2013년 12월 편집위원장 박지혁
l 차 례 l
Chapter 1 개요
뇌졸중의 정의 / 뇌졸중의 영향 / 뇌졸중의 증상 / 뇌졸중의 원인 / 뇌졸중의 분류 / 국제 기능, 장애, 건강 분류(ICF) / 뇌졸중과 일과성 허혈발작 후의 의학적 검사 / 뇌졸중 재발 방지(이차 예방) / 신경해부 / 뇌의 여러 영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손상 / 뇌졸중과 과녈ㄴ된 정책 문서 / 자기평가 질문
Chapter 2 이론적 기초
서론 / 이론적 구조 / 개념적 실행 모델 / 이론의 틀 / 신경가소성 / 중재 접근법 / 자기평가 질문
Chapter 3 작업치료 절차
서론 / 작업치료 절차 / 여러 뇌졸중 치료 환경에서의 절차적 추론 / 전문가적 책임 / 자가평가 질문
Chapter 4 조기 관리
서론 / 사전 준비 / 초기 면담 / 초기 평가 / 중재 / 보조도구 / 기능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장애 / 삼킴 / 기분 / 피로(Carr와 Shepherd, 1987: Laidler, 1994) / 자기평가 질문
Chapter 5 운동장애 치료
서론 / 사정 / 치료 원칙과 중재 방법 / 중재의 치료적 목적 / 초기 뇌졸중 대상자의 자세 / 임상 과제 / 팔 재교육 / 2차 합병증 예방 / 자기평가 질문
Chapter 6 시각장애와 감각장애 치료
서론 / 시각 처리 / 몸감각 처리 / 청각 처리 과정 / 안뜰감각 처리 / 후각 및 미각 처리 / 자기평가 질문
Chapter 7 인지장애 관리 능력
인지의 정의 / 인지적 기능 / 인지기능 평가 / 인지 재활 / 주의력 / 기억력 / 언어 / 운동 계획과 운동행위상실증 / 실행장애 / 자기평가 질문
Chapter 8 지각장애 관리
서론 / 지각의 정의 / 정상적인 지각 / 지각장애 / 지각 평가 / 중재 / 자기평가 질문
Chapter 9 재정착
가정 방문 / 지역사회 재활 / 뇌졸중 후 이용 가능한 지원과 자기관리 / 보호자 / 은 뇌졸중 대상자 / 생활습관과 장기간의 관리 / 여가 재활 / 외출과 교통수단 / 뇌졸중 이후 운전 / 직업 재활 / 성생활의 재개 / 뇌졸중 교육 / 자기평가 질문
Chapter 10 평가
기록관리 / 표준화된 평가 / 근거 기반 실행(EBP) / 결과 측정 / 표준 / 자기평가 질문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공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