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 시골집 마루에 걸려 있던 액자 속에는
그 집안의 연대기가 고스란히 드러나 있었습니다.
한 집에서 누군가는 태어나고 결혼을 했으며,
또 누군가는 바로 그곳에서 죽음을 맞이하면서
가족 모두가 함께 인생을 배우고 경험을 하게 되었던 것이지요.
하지만 지금은 삶의 통과의례 대부분이
집이 아닌 곳에서 이루어지고,
사진 속의 배경이 되는 장소를 그저 스쳐 지나가면서
인생을 시작하고 끝마치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이 책을 만드는 동안
백 년도 못 살면서 천 년을 살 것처럼 한다는 옛말처럼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어르신들의 모습을
우리에겐 절대로 오지 않을 일처럼
생각하고 있던 건 아닌지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혹은 우리가 피해갈 수 없는 길이고
언젠가는 우리의 모습이 될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외면하고 싶은 건지도 모르겠지요.
어릴 때 그렸던 모습이 지금의 모습과 다르다 할지라도
그 연령대마다의 아름다움과 행복이 존재함을 깨닫게 되듯
어르신들을 보살펴 드린다는 것은
그 속에서의 기쁨과 슬픔,
할 수 있는 것과 잃어가는 것을 배워가며
우리의 미래를 준비하는 과정이기도 할 것입니다.
생로병사가 누구에게나 공평하듯
만물을 비추는 해를 보며 생각해 봅니다.
“떠오르는 해도 아름답지만,
지는 노을은 더욱 찬란하다.“
2012년 초봄 역자일동
l 차 례 l
Chapter 01 늙는다는 것, 여생을 살아간다는 것
1.늙음을 배우기 위한 출발 / 2.늙는다는 것 / 3.여생을 살아간다는 것
Chapter 02 고령사회와 사회 보장
1.고령사회의 통계적 윤곽 / 2.고령사회의 보건의료복지 동향 / 3.고령사회에 있어서의 권리 옹호
Chapter 03 노년학의 이념
1.노년학의 발전과정 / 2.고령자 케어의 지향점
Chapter 04 고령자 사정
1.연령증가에 따른 신체적 변화에 대한 사정 / 2.고령자에게서 자주 볼 수 있는 신체 증상과 사정
Chapter 05 고령자의 생활 기능 증진을 위한 케어
1.일상생활을 지지하는 기본 동작과 케어 / 2.식사에 대한 케어 / 3.배설에 대한 케어 / 4.청결과 간호 케어 / 5.생활 리듬과 케어 / 6.커뮤니케이션과 케어
Chapter 06 건강 회복과 종말기 지지관리
1.검사·치료를 받는 고령자에 대한 관리 / 2.질환을 가진 고령자 케어 / 3.인지기능장애에 대한 케어 / 4.종말기 케어
chapter 07 고령자의 위기 관리
1.고령자와 의료 안전 / 2.고령자와 재해 간호
강경희 가천대학교 외